층간(소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22:45
본문
Download : 층간(소음).hwp
우리나라 공동주택은 통상 두께 120 ~ 200mm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 및 바닥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건물 구조체로 구성되는 벽식구조가 대부분이다. 건설교통부 발행, 96 연구 개발 사업 최종 보고서 `공동주택 바닥 난방 시스템 개발 및 실용화 연구` p360~361.
본 구조는 국내 공동주택 바닥구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범용구조로서, 완층층 없이 채움층 및 마감층이 각각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시멘트 몰탈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측정(measurement) 결과에서와 같이 경량 충격원의 경우 바닥 충격음 레벨이 중고음역에서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소음 레벨은 중량 및 경량 충격음이 각각 54.4dB(A)과 83.9dB(A)로 높게 나타났으며, 차음 등급도 양 충격음 모두 3급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순서
설명
다.
현재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보편적인 바닥 구조에서의 바닥 충격…(skip)
레포트/공학기술
우리나라 공동주택 층간 소음실태에 대해 살펴보고 방지대책에 대해서 제시하였습니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는 재료의 속성 상 강성이 있고 밀실하기 때문에 말소리 , TV음 등 공기를 매체로 전달되는 공기 전달음에 마주향하여 는 충분한 차단성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면에 충격이 가하여질 때 발생되는 고체 전달음의 경우 콘크리트는 자체 진동 감쇄능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인접 세대로 쉽게 전달되는 속성 을 갖고 있다 공동주택에서의 이러한 고체 전달음은 위층에서 뛰는 소리 , 물건 떨어뜨리는 소리 , 망치 소리 , 급배수관 � 화장실 하수관 등에서 발생하는 음 등이 있다 현재 국내 공동주택 바닥구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구조로 차음층(완충층)없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 층과 시멘트 몰탈로 이루어진 마감층 구조의 층간 소음 정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층간(소음)
Download : 층간(소음).hwp( 57 )
*소음 정이
*소음 레벨과 음의 크기
*층간 소음 차단 대책
*현재 우리나라 공동주택 층간 소음 reality(실태)
- 층간 소음 규제 방향
-급배수 설비소음
-세대간 차음성능
-층간소음 방지대책
*현재 우리나라 공동주택 층간 소음 reality(실태)
우리나라전체 가구 수의 50% 이상이 공동주택 주거 형태로 조사되고 있고, 공동주택 주거민들을 대상으로 주거環境(환경)에 대한 조사를 하면 불만족 1순위가 「층간 소음」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만큼 중요한 사항임에도 법적 제도적인 뒷받침도, 건설현장에서의 改善(개선) 대책도 미비한 실정이다.층간(소음) , 층간(소음)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레포트
층간(소음)
우리나라 공동주택 층간 소음실태에 대해 살펴보고 방지대책에 대하여 제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