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통신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02:05
본문
Download : 조선 통신사.hwp
그 뒤 1429년(세종 11) 박서생을 정사로 한 사절단이 日本(일본)에 파견되어 임무를 수행하고 귀국하였는데, 이것이 실제로 시행된 최초의 통신사라고 할 수 있따
1811년(순조 11) 마지막 통신사가 파견될 때까지 조선시대에는 20次例에 걸쳐 통신사가 파견되었으며 76년…(省略)



레포트/기타
조선 통신사 , 조선 통신사기타레포트 , 조선 통신사
다.
日本(일본)에 파견된 사절단에 통신사라는 명칭이 처음 쓰인 것은 1413년(태종 13)에 박분을 정사로 한 사절단이었으나 이 사행은 도중에 정사가 병이 나서 중지되었다.
Download : 조선 통신사.hwp( 72 )
조선,통신사,기타,레포트
조선 통신사
조선 통신사
순서
설명
조선 통신사
조선 통신사란, 조선시대 日本(일본)으로 보낸 외교사절 단을 뜻한다. 1404년(태종 4) 조선과 日本(일본)사이에 교린관계가 성립되자, 조선 국왕과 막부 장군은 각기 양국의 최고 통치권자로서 외교적인 현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절을 각각 파견하였다.
‘통신’은 두 나라가 서로 신의를 통하여 교류한 `조선 통신사의 행렬` 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조선에서 日本(일본)에 파견한 사절의 명칭은 보빙사, 회례사, 회례관, 통신관, 경차관 등 다양하였다.
이 때 조선 국왕이 막부 장군에게 파견하는 사절
을 ‘통신사’, 막부장군이 조선국왕엑 파견하는 사
절을 ‘日本(일본)국왕사’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