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답사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8:03
본문
Download : 해인사답사기_2007954.hwp
이어 고려 태조(재위 918-943)의 복전(福田)이었던 희랑(希朗)이 이 곳에서 화엄의 사상을 펼쳤다. 태조는 희랑이 후백제의 견훤을 뿌리치고 도와준데 대한 보답으로 이 절을 고려의국찰로 삼고, 전지 500결을 헌납하여 사우(寺宇)를 중건하게 하여 당시 우리나라 제일의 도량으로 만들었다. 한편 1398년(조선 태조 7)에는 강화도 선원사(禪源寺)에 있던 팔만대장경판을 지천사(支天寺)로 옮겼다가 이듬해 이 곳으로 옮겨왔다. 이 소식을 전해 들은 성목태후(聖穆太后)가 불사를 도와 전지(田地) 2,500결을 하사했다. 또한 3년 동안의 공사 끝에 대적광전을 비롯하여 법당과 요사 160칸을 신축했다. 그 뒤 갑자기 순응이 죽자 이정이 그의 뒤를 이어 절을 완성했다. 해인사의 해인은 <화엄경>중에 나오는 해인삼매(海印三昧)에서 origin한 것이다. 특히 창건주 순응은 의상(義湘;625-702)의 법손(法孫)이다. 신림(神琳)의 제자 순왕은 766년(혜공왕 2)중국(中國)으로 구도의 길을 떠났다가 수년 뒤 귀국하여 가야산에서 정진했으며, 802년(애장왕 3) 이 절의 창건에 착수했다.
[history(역사) ] 신라 애장왕 때(800-809) 순응(順應)과 이정(利貞)이 창건했다. 따라서 해인사는 화엄의 철학, 화엄의 사상을 천명하고자 하는 뜻으로 이루어진 화엄의 대도량이다. 그러므로 이 절은 의상의 화엄10찰(華嚴十刹)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해인사답사기
해인사답사기
설명
사용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순서
사용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해인사답사기 , 해인사답사기인문사회레포트 ,
1. 해인사 연혁
[위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伽倻山) 서남쪽 기슭에 있따
[소속]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이다. 그 뒤 세조는 장경각(藏經閣)을 확장하고 개수했으며, 1483년(성종 14) 세조의 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해인사 중건의 뜻을 이루지 못하자, 1488년 인수왕비(仁粹王妃)와 인혜왕비(仁惠王妃)가 등곡 학조(燈谷 學祖)에게 공사를 감독할 것을 명하고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을 중건했다. 그러나 1695년(숙종21) 실화하여 여러 요사와 만월당(滿月堂)…(drop)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해인사답사기_2007954.hwp( 36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