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별인센티브제도의 기준 - 개인별 인센티브제도의 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08:47
본문
Download : 개인별인센티브제도의기준.hwp
개인별인센티브제도의 기준
레포트/인문사회
개인별인센티브제도의 기준 - 개인별 인센티브제도의 기준
설명

Download : 개인별인센티브제도의기준.hwp( 33 )
다.
표준시간급제(standard hour plan), 할시이 할증제(Halsey plan), 로오완할증제(Rowan plan), 간트상여제(Gantt plan, Gant task and bonus plan) 등이 잘 알려져 있는 제도이다.
2. 모범행위 기준
통상적 직무수행에 있어 타의 모범이 되거나 조직에 특별한 공헌을 하였을 경우 조직에서 일정한 조건과 지급률을 정하여 보상하는 제도로서 조직의 발전에 …(생략(省略))
개인별인센티브제도,기준,인문사회,레포트
순서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개인별인센티브제도의 기준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그러나 개인별 성과를 측정(measurement)하기가 어려울 경우에는 부분별 또는 작업조별로 지급하도록 변형되어 사용하기도 한다. , 개인별인센티브제도의 기준 - 개인별 인센티브제도의 기준인문사회레포트 , 개인별인센티브제도 기준
개인별 인센티브제도의 기준
1. 생산성 기준
개인의 생산성 기준 인센티브 제도는 생산량의 증대에 1차적인 目標(목표)를 둔 제도로서, 개인의 성과를 기초로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생산량을 성과측정(measurement)의(定義) 척도로 하는 example(사례) 로는
① 생산단위당 임률을 결정하고 각 개인별 실제생산량과 생산단위당 임률을 곱하여 임금을 산정하는 단순성과급제(straight piecework),
② 생산단위당 임률을 표준생산량을 달성했을 경우의 임율과 표준 생산량을 달성하지 못했을 경우의 임률을 기준으로 각 개인별 실제생산량과 생산단위당 임률을 곱하여 임금을 산정하는 F.W.Taylor의 discrimination성과급제(differential piece-rate plan),
③ discrimination성과급제를 수정하여 표준 생산량을 기준으로 임률을 3단계로 나눈 D.V.Merick 다율 성과급제(multiple piece-rate plan)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노동시간을 척도로 성과를 측정(measurement)하는 제도는 표준작업시간을 정하고 작업을 이 시간 내에 완성하지 못한 사람에 마주향하여 는 미리 정해진 시간급을 지급하여 임금을 안정시키는 한편, 표준작업시간 내에 작업을 완성한 사람에게는 인센티브를 지급한다는 내용이 공통적이다. 이 제도는 노력과 보상이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다른 제도보다 인센티브 효율가 매우 크고 일반적으로 연봉의 적용을 받지 않는 생산직에 대하여 주로 시행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