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상고기 김씨 족단의 출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12:51
본문
Download : 신라 상고기 김씨 족단의 출자.hwp
설명
,기타,레포트
신라 상고기 김씨 족단의 출자
여기에 보이는 ‘나령군’이나 ‘나이군’ 등의 지명이 ‘나을’과 관련될 여지가 있음은 누구나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바이다. 이 나령군은 공교롭게...
다. 이 나령군은 공교롭게도 죽령 바로 남쪽에 위치한 오늘날의 영주지역이다. 한편, 삼국사기 권36 지리지 무주 무령군조를 보면 “무령군 본백제무시이군”이라고 되어 있다 ‘시’가 경덕왕대에 한식 지명으로 바뀌면서, ‘령’이 되고 있는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신라 상고기 김씨 족단의 출자.hwp( 16 )
순서
레포트/기타
여기에 보이는 ‘나령군’이나 ‘나이군’ 등의 지명이 ‘나을’과 관련될 여지가 있음은 누구나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바이다. 이 나령군은 공교롭게... , 신라 상고기 김씨 족단의 출자기타레포트 ,
여기에 보이는 ‘나령군’이나 ‘나이군’ 등의 지명이 ‘나을’과 관련될 여지가 있음은 누구나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바이다. 영주지역은 삼국사기 권3 소지마립간 22년조에 ‘날이군’이라고도 나오고 있는데, ‘나을(나을)’과 ‘날(날)’의 상관 가능성이 주목된다된다. 더욱이 ‘나을’은 다음과 같은 사례(instance)를 참고하면, 경덕왕대의 개정지명인 ‘나령’과의 관련성이 보다 확실히 부각될 수 있다 즉 삼국사기 권34 지리지의 상주 문소군조에는 그 속현으로 안현현이 나오는데, “본 아시혜현 일운 아을혜”라 하고 있다 이는 ‘시’와 ‘을’의 음이 신라 당대에는 서로 통하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