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의 비중 측정(measur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3:07
본문
Download : 물질의 비중 측정.hwp
역시나 theory 적인 결과와 experiment(실험)적인 결과는 차이가 있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질의 비중 측정(measurement)
순서
Download : 물질의 비중 측정.hwp( 30 )
물질의 비중 측정(measurement)
또 질문 및 토의에서 나온 그래프에서 알게 된 것은 지구 표면 가까운 곳에서는 중력가속도가 9.8m/s2 와 거의 차이가 없지만 1km가 되는 지점부터는 서서히 차이가 나기 시작했다.
설명
일단 experiment(실험)과정에서의 오차는 그 표적이 되는 공받게에 있었다. 우리가 experiment(실험)할때도 그랬지만 공이 떨어지는 위치에 따라서 시간이 작게도 나오고 크게도 나왔다. 솔직히 지구의 질량이 그렇게 크게 나올줄은 상상하지 못했었다.
물질의 비중 측정,중력 가속도
實驗(실험) 목적
두 번째로 자연현상에서의 오차를 생각해보면 공기저항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지구가 9.8m/s2 의 가속도로 공을 잡아 당기지만 공기가 일정한 힘으로 밀어올리기 때문에 공기 저항력을 배제하고 계산하는 우리로서는 당황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한마디로 말해서 공받게가 부실하여 오차가 생기기도 했다는 것이다. 상수와 반지름은 누리망 에서 금방 찾았지만 질량은 찾을 수가 없었다.
물질의 비중 측정 실험 목적 지구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물체에 대해 낙하거리와 시간을 측정하여 중력 가속도를 구한다. 지구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물체에 대해 낙하거리와 시간을 측정(measurement)하여 중력 가속도를 구한다. 계산과정도 나름대로 간단하고 리포트의 양도 적다. 중력 가속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먼저 지구의 질량과 반지름과 만유인력 상수를 알아야 했다. 하지만 문제는 오차이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다. 그래서 별수없이 중력 가속도 공식을 이용해서 가속도를 9.8m/s2로 두고 계산하여서 엄청난 수치의 질량을 계산했다. 그냥 높이를 맞추고 표적에 맞춰 잘 떨어뜨리기만 하면 되는 experiment(실험)이었다.
이번 experiment(실험)은 엄청나게 간단한 experiment(실험)이었다. 우리는 지표 가까운 곳에서의 중력 가속도는 9.8m/s2으로 거의 일정하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experiment(실험)결과에 나온 수치처럼 우리의 experiment(실험)에서 나온 중력 가속도는 약 11m/s2, 9m/s2으로 알고있는 9.8m/s2와는 차이가 있었다. 게다가 오차도 너무 크게 나와서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