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한국어와 日本 어의 차이점 日本 어 음성차용어의 음운alteration(변화) 에 대한 추론 / 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5:20
본문
Download : 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점 - 일본어 음성차용어의 음운변화에 대한 추론.hwp
인문사회 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점 일본어 음성차용어의 음운변화에 대한 추론 / 일
日本 어 음성차용어의 음운alteration(변화) 에 대한 추론 -음운론적인 관점에서- 김경호...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점 - 일본어 음성차용어의 음운변화에 대한 추론.hwp( 47 )
순서
일본어 음성차용어의 음운change(변화)에 대한 추론 -음운론적인 관점에서- 김경호(호남대학교) 1.도입 한국어의 어휘체계를 구성하는 어종을 일반적으로 크게 나누면 고유어와,China에서 유입된한자어,그리고 외래어라는 범주로 구분되어진다.그 중 차용어의 일종인 외래어를 구성하는 각 언어를 분류해보면 차용어에 따라 서구어 차용어 와 일본어 차용어등 개별차용어로 구분할 수 있다아 개별 언어에서 독자적으로 차용된 개별용어는,차용되는 쪽과 차용하는 쪽의 양언어의 규칙적인 음운법칙이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일본어차용어의 양상 일본어 차용어중 문자차용어가 어느 시대에 정확이 어떠한 문헌을 통해 유입되었는가에 대한 연구1) 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음성차용어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차용되었는지등에 대한 연구 조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문자차용어와는 달리 그 ...
[인문사회] 한국어와 日本 어의 차이점 日本 어 음성차용어의 음운alteration(변화) 에 대한 추론 / 일
설명
일본어 음성차용어의 음운변화에 대한 추론 -음운론적인 관점에서- 김경호...
다. 그러므로 한국어에 존재하는 일본어 차용어는 문헌 및 기록을 통한 문자에 의해 차용이 이루어진 문자차용어와 음성에 의해 차용이 이루어진 음성차용어로 분류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아 지금까지 일본어계 차용어는 어휘중심으로 연구되어온 경향이 있고,음형change(변화)에 대한 연구가 있다 하더라도 음형change(변화)가 이루어진 현상만을 중심으로 단순하게 다루어온 면이 강하다 할 수있다아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한국어에서 사용되고있는 일본어 음성차용어의 음운change(변화)현상을 음운체계에 기초하여 살펴보고, 특히 일본어의 탁음인 유성치경파열음 [d]가 한국어에서 유성치경비음[n]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가설을 세워 한일양어에 있어서 음운체계에 의한 음형change(변화)의 가능성을 추론해보고자 한다. 그러나 본고의 대상인 일본어 차용어는 한자를 매개로 한 문자차용과 음성을 매개로 한 음성차용등 그 유형이 다양화되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