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명조식의 유적답사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7 13:46
본문
Download : 남명조식의 유적답사기.hwp
그에 대하여 책의 저자는 국토가 모두 박물관이라고 말을 했다. 자신의 이기로 인해서 훌륭한 선조의 숨결을 지금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또 앞으로 우리 후손에게 느낄 수 없게 하는 것이 안타까웠다. 이런 내 마음을 알았을까? 버스는 쉬지 않고 달려 뇌룡정에 나를 내려놓았다. 그가 태어났던 그곳에 기와집 아니 가난하다고 했으니 초가집이라도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되었다. 우리는 남명 조식 선생이 태어났다는 생가로 발걸음을 옮겼다. 그것에서 옛날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던 것은 축대뿐이었다. 처음 박익환 교수님의 사회 강의 시간 그것을 받아 보고 이것은 무엇일까? 이 그림과 구조가 맞을까? 그는 왜 이런 것을 그리어 놓았을까 라는 의심을 오늘에서야 풀 수 있었다. 그렇게 도착한 곳은 현대식으로 지은 집 옆에 있는 대나무 앞의 공간이었다. 아담한 뜰과 정자가 모습을 드러냈다. 얼마쯤 달렸을까? 버스는 삼가면 토동에서 휴식을 취했다. 눈에 대한 바라봄을 첫 …(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남명조식의유적답사기
남명조식의 유적답사기에 대한 글입니다. 한 걸음 두 걸음 가까이 다가가고 있었다.
다. 文化(culture) 유산 답사기에서 보면 우리 나라는 외국에 비해 박물관이 작다고 한다. 하지만 내 앞에는 너무 관리가 되지 않은 조식의 찾기 힘든 흔적만 남아 있었다. 남명 조식은 1538년 임금은 그의 재능에 못 미치는 헌릉참봉으로 임명하지만 관직에 나가지 않고 45세에 고향 삼가현에 돌아온 후 계부당(鷄伏堂, 닭이 알을 품다)과 뇌룡정(雷龍亭)을 지어 살면서 제자들의 교육에 힘썼다고 한다. 내 눈에는 축대보다 운동기구, 볏짚 단이 더 들어와 마음이 아팠다. 나는 이곳에서 조금이나마 그의 가르침을 받고 돌아간다면 이 답사의 보람이 있을 것 같았다.
Download : 남명조식의 유적답사기.hwp( 27 )
남명조식의 유적답사기에 대한 글입니다.
안타까움과 동시에 나는 남명 조식의 사상과 삶이 숨쉬는 곳을 보고 싶었다. 저 기와집일까? 저 돌담 집일까? 이리저리 고개를 돌려보았으나 그 곳은 아니라고 했다.남명조식의유적답사기 , 남명조식의 유적답사기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남명조식의 유적답사기
내가 남명 조식과의 만남을 생각하고 있는 동안 버스는 비포장 도로 위해서 춤을 추면서 합천으로 향하고 있었다. 뇌룡定義(정의) 모습과 똑같은 신명사도를 펼쳐 보았다.